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

전체 메뉴 열기

학과

전체 메뉴 닫기

연구실 소개

경관계획연구실

본 연구실은 ‘경관학, 경관계획’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.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별로 연구실 내부의 연구와 지자체 및 공사기업과 협업으로 외부 연구를 수행한다.

1. 기초연구 ㅡ 경관계획의 기초로서  조경미학, 경관미학과 도시미학을 연구한다.
2. 정책연구 ㅡ 도시조경의 관점에서 출발하여, 도시와 토목, 조경 경계부의 유형별 상생적 계획방법을 연구한다. 이러한 도시와 조경의 융복합적 상호작용은 도시재생의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다.
3. 도시미 역사연구 ㅡ 역사적으로는 옴스테드의 공원체계와 도시미운동, 하워드의 전원도시, 뉴어버니즘, 랜드스케이프 어버니즘 등 도시경관과 관련된 사상과 기법들을 연구하며 이를 기초로 도시미 연구의 연원과 전개를 해석하고 미래방향을 전망한다.
4. 계획연구 ㅡ 미학, 역사, 정책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도시, 농촌, 지역의 경관계획 수립을 연구, 제안한다.
5. 경관자원 평가연구 ㅡ 국토, 지역, 도시 규모에서 기존의 경관자원을 발굴, 평가, 활용방안을 연구한다.
6. 응용연구 ㅡ 공원녹지 및 경관자원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방안을 연구, 개발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

부설 : (사)한국경관학회 사무국
      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 배봉관222호
       Tel: 02-585-5034
       Mail:  kolanco@kolanco.or.kr
       http://www.kolanco.or.kr

연구실, 지도교수를 나타내는 표입니다.
연구실 지도교수
연구실 경관계획연구실
지도교수 김한배 교수
프로젝트

연구실 석·박사논문


<박사학위논문>

윤미방(2012) : 궁궐정원으로 본 중층적 미의식
이승희(2015) : 고산 윤선도 원림 권역의 문화경관적 해석과 가치
박수지(2015) : 경관 관련 텍스트를 통해 본 서울 경관·명소의 변천 특성

하혜경(2020.8) 대표경관과 사회적 장소의 변천을 통해 본 역사도시 진주의 지역성

서자유(2020.8) 디지털 장소 이미지가 경관자원 인지에 미치는 영향

 

<석사학위논문>

하혜경(2005) : 서울시 공원녹지행정에 있어서의 주민참여 연구
김희숙(2005) : 교통 인프라스트럭처 lost space의 조경적 이용
김효수(2006) : 신문을 통해 본 조경의 정책과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
이윤주(2006) : 상업가로경관에 나타난 키치적 현상에 관한 연구
정호은(2006) : 수도권 신도시의 이미지 특성과 공원·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
송지선(2007) : 청계천 상류지천 유역의 역사탐방로 계획 연구
서자유(2007) : 틈 개념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
이부형(2007) : 영상촬영지의 장소만들기에 관한 연구
김성호(2007) : 참여관찰에 의한 문화 공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
이우형(2008) : 산업경관에서 나타나는 숭고미에 관한 연구
이규찬(2008) : 복원된 도시복개하천이 주민의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
이창연(2008) : 서울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연구
조동호(2008) : 주민참여형 공원리모델링 계획 연구
김영재(2008) : 도시 보행자가로의 체험에 있어서 '어번픽춰레스크'적 특성에 관한 연구
박수지(2008) : 기억 스키마를 중심으로 한 경험디자인 연구
이미경(2008) : 청계천복원관련 담론분석을 통한 환경인식 지형연구
유준경(2009):  현대 대형공원의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
조중석(2009) : 현대조경설계에 있어서 초현실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
조민영(2009):  한국 현대 대형공원에서의 정체성 표현에 관한 연구
박수이(2009):  커뮤니티 의식 활성화를 위한 마을 만들기 방법 비교 연구
이현승(2009):  지역정체성 해석에 기반한 이태원 관광특구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
이청원(2010):  도시 공공조망점 선정에 있어 문화적 인자에 관한 연구
김미선(2010):  경관협정 시범사업의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
박병훈(2010):  도시공원 경계부 변화양상 연구
김승회(2011):  공공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
강호민(2011):  안양천 수변공원의 도입시설 방향 연구
한라영(2011):  녹색주차마을 생활도로의 보행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
손나경(2011):  도시 재래시장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
정찬민(2011):  해안문화유산 주변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
이수연(2011):  가로체계 분석을 통한 지역성 증진방안 연구
서은진(2012):  현대 환경설계에 나타난 여성성
임현진(2012):  현대 메모리얼의 대지예술적 표현 특성 연구
서진경(2012):  역사·문화적 도심재생에 있어서 이용자인식의 비교연구
김지유(2013):  경관협정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
정지훈(2013):  도시 어메니티 탐방로 계획 및 활용방안
방성원(2013):  경관협정사업에 대한 주민인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
이승민(2013):  현대 환경설계에서 나타나는 협업에 관한 연구
윤죠흔(2013):  제주올레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특성 연구
김유란(2013):  서촌의 생활경관적 특성에 관한 연구
이정현(2013):  서울시 공공기관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이용효과 분석
최지이(2014):  한양도성에서 조망되는 서울 원도심의 부감경관 특성
허뢰  (2014):  중국 항주(杭州) 서호십경(西湖十景)의 변천과 경관 인식 양상
길병규(2015):  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주제적합성과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
노세호(2015):  도시미화운동에서 계획적 특성의 재평가
류수미(2015):  도시 공공건축물 옥상조경공간의 공공성평가에 따른 이용 활성화 방안


역·저서


2016. 국토경관 만들기의 사상과 방법, 문운당, 공동번역
2010. 서촌: 역사, 경관, 도시조직의 변화, 서울역사박물관,
         (8인공저, 6장 서촌의 산수경관과 원림문화, pp.168-189)
2010. 도시사랑, 도시디자인, 서울디자인재단 (9인공저, 푸르름을 향해 열린 도시디자인   pp72-95)
2009. 전통문화환경에 새겨진 의미와 가치, 도서출판조경(14인공저)2009. 보이지 않는 용산 보이는 용산, 
       서울학 모노그라프02, 도서출판마티 (6인공저,2장보이지않는경관, 상흔에서희망으로,pp.39-67)
2006, 한국의 공원․ Parkscape, 도서출판조경(11인 공저)
2004. 자연경관계획 및 관리, 문운당(13인 공저)
2004. 도시경관계획 및 관리, 문운당(11인 공저, 대표집필)
2003. “서울 남촌 ; 시간, 장소, 사람‘, 서울학연구소(7인 공저)
1999. 조경설계론, 기문당(12인 공저)
1999. 우리시대의 조경속으로, 서울포럼(16인 공저)
1998. LOCUS(조경과 문화).도서출판조경문화(12인 공저)
1998. “우리 도시의 얼굴찾기”, 태림문화사(단독저서), 문화관광부 ‘98우수학술도서선정


연구논문


2014. 이승희·김한배, 문화경관개념으로 본 윤선도부용동정원의 가치, 한국경관학회지, 6/2,54-64
2014. 박수지·김한배·이승희, 조선시대 서울 경관명소 분포와 인식의 비교 연구, 국토연구82,17-35
2014. 박수지·김한배, 일제강점기 경성경관명소의 인식 양상 변화, 한국경관학회지, 6/2,65-77
2014. 김한배·이승희, 서울서촌지역 조선조원림의 위치 추적을 통한 경관해석, 한국전통조경학회지 32/3,168-182
2013. 이정현·김한배, 서울시 공공기관 담장 개방사업에 따른 이용효과 분석, 한국경관학회지,5/1:1-17
2013. 박수지·김한배, 서울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, 한국조경학회지, 41/4:42-55
2013. 김한배, 축제의 경관문화-정원박람회와 경관예술제, 환경논총, 52권(2013.9)pp.33-42
2012. 김한배, 조선시대 산수화의 경관관이 원림양식에 미친영향, 한국조경학회지, 40/2:49-63
2010. 윤미방·김한배, 이슬람정원에서 디테일이 장소성에 미친 영향, pp.122-133, 한국조경학회지,38/5
2010. 윤미방,김한배, 융의 원형론적 관점에서 본 궁궐수공간의 상징성, 한국전통조경학회지,28/3,60-71
2010. 손나경·김한배,도시전통시장의 공공성 분석에 관한 연구, 한국경관학회지,2/2,pp.50-68
2010. 경관협정시범사업의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, 한국경관학회지,2권1호,pp.1-16(김미선,김한배,김연금)
2010. 동양그림의 경관관이 작정원리에 미친 영향-중국화론과 원림론의 관계를 중심으로 -한국조경학회지,37권6호,pp.85-95
2010. 도시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-서울시를 중심으로-,한국조경학회지, 37권6호,pp.73-84(이창연, 김한배)
2009. 청계천복원관련 담론분석을 통한 환경인식 지형 연구, 한국조경학회지,36권6호,pp.102-113(이미경, 김한배)
2009. 도시보행자가로의 체험에 있어서 어번픽춰레스크적특성에 관한 연구, 한국조경학회지,
         36권6호,pp.115-125(김영재, 김한배)
2009. 도시공공조망점선정기준에 관한연구, 한국경관학회지, 1권1호,pp.10-23(이청원, 김한배)
2008. 혼성적환경설계의 기원과 전개, 한국조경학회지36권5호,pp.1-12
2008. 10.01. 디자인 전성시대 혹은 계획 실종시대, 월간 조경세계(LW), 17권 권두컬럼, (주)건축세계
2008. 03.28. 도시 보행자가로의 체험에 있어서 ‘어번픽춰레스크’적 특성에 관한 연구, 김영재·김한배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, 3-7쪽
2008. 02.21. 들어가는 글, 제1회 경관아카데미: 경관법과 경관계획, (사)한국경관협의회, 5-15쪽
2007. 11.27. 역사도시 전주의 경관특성과 활성화 방향, 전주시 아트폴리스 실현을 위한 심포지움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전주시 전북대학교 , 25-37쪽
2007. 11.14. 도시경관관리와 조경정책, 도시문화 관광개발과 조경정책 심포지엄, 한국조경학회, 27-36쪽
2007. 08.31. 서울 서촌의 역사문화탐방로 조성방안연구, 한국조경학회지, 35/3, pp.13-36
2007. 05.29.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for National Landscape, International Symposium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"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Creation of National Landscape", Korea Landscape Council, pp. 57-75
2006.           서울 청계천 상류복원을 통한 역사탐방로 조성제안, 서울을 걷는다(제4회 도시과학심포지엄 발표논문집)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, pp. 93-107
2006.            Revitalization of the Urban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Stream System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A Proposal,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, Volume 2, JILA, CSLA, KILA, pp86-96
2006.            Revitalization of the Urban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Stream System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A Proposal, 제 9회 한중일 국제조경전문가회의 발표논문, 일본조원학회․한국조경학회․중국풍경원림학회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초록집, pp.15-27
2005. 02.      김한배 외 2인, 수도권 14지구(시흥목감) 개발전략보고서, 대한주택공사
2004. 12.      손양면 하왕도리 준도시지역 경관형성계획 및 취락지구 개발계획, 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, 양양군
2004. 06.      김천시 도시경관기본계획, 보고서, 연구책임자, 한국조경학회, 김천시
2004. 08.      강변테마공원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, 보고서, 책임연구원, 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, 마포구
2004. 04.      진천소도읍종합육성계획, 보고서, 공동연구원, 서울시립대 도시과학연구원, 진천군

졸업생 박사(5명), 석사(45)
재학생 박사 : 박병훈
석사 : 고나연, 심재욱